share21 [HTML] 문자셋 - 유니코드 웹페이지의 문서를 작성할 때 이 문서가 어떤 언어를 사용하여 작성하는지 컴퓨터에게 알려줘야하는데, 이렇게 해야 컴퓨터가 올바르게 해당 텍스트를 인식하고 웹브라우저에 출력해 주기 때문입니다. 보통 유니코드라는 문자셋을 사용하는데요 유니코드(utf-8)는 영어는 물론 한글, 일본어, 중국어등 전세계 대부분의 언어를 표현해주는 문자셋입니다. 문자셋을 설정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. 이 mata 태그를 head 태그 안에 넣으면 문자셋 설정이 끝! :) 간단하죠? 문자셋 셋팅 ◆ 이 코드는 이 문서가 HTML의 문서 타입을 의미하는 코드인데, HTML5를 사용한다는 것을 말합니다. ◆ 메타데이터 : 요소 메타데이터는 데이터를 설명하는 코드. 그리고 html에서 문서에 공식적으로 메타데이터를 .. 2022. 1. 18. [HTML] 기본정의_html이란? ◆ HTML ? HTML은 Hyper Text Markup Language의 약자로 가장 단순한 형태의 웹 언어입니다. 웹 문서를 만들기 위하여 사용하는 기본적인 웹 언어의 한 종류로 하이퍼텍스트를 작성하기 위해 개발 되었습니다. 쉽게 말해 웹홈페이지를 만들기 위한 가장 기본적인 언어로 주로 우리가 접하는 홈페이지는 html의 들로 구성되어 있있다고 말할 수 있습니다. ◆ HTML 구조 HTML을 공부하기 위해서는 기본적으로 시맨틱 태그의 화면구조를 이해해야하며 크게는 head와 body로 body영역의 세부요소로는 header / section / footer가 있습니다. [tip_약간의부가설명] HTML4는 2022. 1. 12. UI 속의 글래스모피즘 (Glassmorphism) 글래스모피즘 (Glassmorphism)? 새로운 Web 트렌드의 참고 HTML 코드 도구 정리 Glassmorphism (글래스모피즘) 이란 ? 2020년 말보다 인기가 높아지고있는 스타일로, 조용히 사라져가는 트렌드 뉴 모드 필터 알고리즘의 플라스틱 질감에 유리를 통해 들여다보는 것 같은 배경 흐림(투명화)이 특징인 스타일입니다. 글래스모피즘의 스타일로 누릴 수 있는 포인트 4가지 투명도 (영어 : Transparency) : 배경 흐림을 사용하여 유리와 같은 효과 공간에 부유하는 객체를 이용한 여러 계층 레이어상의 접근 흐린 투명감을 돋보이게하는 선명한 배색 반투명 오브젝트에 약간의 테두리 테두리 추가 글래스모피즘의 스타일 사용 시 주의 할 점 올바른 투명도 설정 방법 Photoshop과 같은 디자.. 2021. 1. 13. 이전 1 2 3 4 다음